POP
- MES의 일종으로 생산시점 정보관리를 뜻한다. 국내에서는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로 기능상 큰 차이가 있다.
역사적으로는 MES는 미국에서 시작된 반면 POS는 일본에서 시작했다. 또한 MES는 계획/자원 할당을 위조루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POP는 실적 관리를 위주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로 인하여 MES가 POP 보다는 높은 제어 능력을 가진다.
사용하는 영역도 다른데 MES는 일괄 생산,장치 생산,장치 및 조립생산에 쓰이는 반면에 POP는 조립생산에서만 사용한다.
설비/물류이동 할당 수단으로 MES는 스케줄링을 사용하지만 POP는 작업다가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MES와 POP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깊게 들어가면 POP의 관리 분야로 4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생산관리.물류관리,품질관리.설비관리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MES의 11개의 기능 안에 포함된 내용이다.
POP(생산시점정보관리 시스템)은 공장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처리하여 관리자 혹은 상위 시스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전체적인 생산 정보화의 관점에서 보면 생산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을 시점별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변화된 상황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 POP는 그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적 요소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을 고려하면 신규 제품군의 도입 등 생산 환경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POP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유지,보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보통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방법론을 정립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이 혁신을 위해 등장한 것이 MES다. MES의 경우 POP에 대비하여 실시간 통제가 가능하며,반송 지시 및 작업 할당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재공 재고 감축,제조 사이클 타임 단출,자원 활용 효과 등 더 높은 차원의 정보시스템이다. POP은 생산 계획에 따른 진행 현황에
대한 파악위주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으며 MES는 자재 입고부터 최종 제품 생산까지의 전체의 공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생산의 결과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L과 PTL의 차이점 (0) | 2022.09.05 |
---|---|
하드닝이란 ? (0) | 2022.09.01 |
서버 보안 방화벽 (0) | 2022.08.17 |
bypass와 oversubscription 차이점 (0) | 2022.08.17 |
Airflow란 ??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