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 [Supply Chain Management]
기업에서 생산,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를 뜻한다.
제조-물류-소매점에 이르는 공급망 관리를 통한 판매, 생산, 물류의 통합 연계 시스템을 기업 내외적으로 구축하는 것. '공급 사슬관리' 또는 '유통 총공급망관리'라고 불린다.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변화에 고객,소매상,도매상,제조업 그리고 부품, 자재 공급업자 등으로 이루어진 공급망 전체를 기민하게 대응시켜 전체 최적화를 도모하는 관리 솔루션,물자,정보,재정 등이 공급자로부터 생산자,도매업자,소매상인, 소비자에게 이동함에 따라 그 진행과정을 감독하는 것이다.
회사 내부와 회사들 사이 모두에서 이러한 흐름들의 조정과 통합 과정이 수반 된다. 효율적인 SCM 시스템의 최종 목표는 필요할때면 제품이 항상 쓸 수 있다는 전제하에 재고를 줄이는 것이다.
기업들은 SCM을 통해 경영의 세계화 시장의 역동화 고객 필요성의 다양화 등에 대응함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모든 거래 당사자들의 연관된 사업범위 내 가상 조직처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SCM은 부품 공급업체와 생산업체 그리고 고객에 이르기까지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들간 I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공유를 통해 시장이나 수요자들의 요구에 기민하게 대응토록 지원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에 있는 제조업체,물류업체,유통업체들은 SCM을 통해 거래선들과 긴밀하게 협력함으로써 그 이익을 훨씬 더 극대화하고 있다.
SCM의 고도화는 공급자관계관리(SRM), 제품주기관리(PLM), 성과측정지표(BSC),능률원가측정등의 애플리케이셔을 기업 애플리션통합 및 기업포털작업에 연계함으로써 협력사들과 총체적인 협업체계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저변에는 전사데이터웨어하우스(EDW), 초대형 서버 전사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등이 자리잡는다.
곧 비즈니스 전략,전술,실행의 각 레벨에 대해 수요,생산,자재, 수/배송, 회수의 각 부문에 대한 계획과 실행 그리고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간접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통합관리 시스템
SRM [Supplier Realationship Management]
공급업체(Vender)로부터 전략 구매/조달을 위한 특화된 시스템이며, 구매관리 시스템, 공급자 관계 관리라고도 한다. Vender관리 및 평가. 자재 관리, 구매조직 관리, 입찰 관리(경쟁입찰,공사입찰,비교견적) 구매요청관리를 포함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 속에서 기존에 기업이 진행해왔던 내부의 조직 및 기능별 관리만으로는 고객만족 및 확보에 한계를 느끼게 되면서 새로운 경쟁력으로 주목 받게 된 것이 바로 SRM(협력사 관계 관리)이다.
쉽게 말해 원자재 및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를 비롯해 제품의 생산,개발,구매 등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완성된 제품을 선보일 때까지 연관된 모든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SRM이라고 할 수 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란 ?? (0) | 2021.09.15 |
---|---|
WMS이란 ? (0) | 2021.08.20 |
RPA 란 ?? (0) | 2021.08.18 |
스푸핑,스니핑,스누핑 (0) | 2021.08.17 |
웹 서버와 WAS의 차이와 웹서비스 구조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