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란
네트워크 주소 벼노한을 줄여서 NAT !!
IP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합니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하여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NAT를 편리한 기법이라 보고 널리 사용하며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NAT는 IPv4의 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되며 비공인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외부의 공인망과의 통신을 위해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는 것 입니다.
내부 망에서 사설 IP주소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고 외부망과의 통신시에 NAT를 거쳐 공인 IP 주소로 자동 변환
NAT를 사용하는 목적
1. 인터넷의 공인 IP주소 절약 가능
2. 인터넷이란 공공망과 연결되는 사용자들의 고유한 사설망을 침입자들로부터 보호 가능
1)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는 한정되어 있어 가급적 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한데
NAT를 이용하면 사설 IP주소를 사용하여 공인 IP주소와 상호변환 할 수 있도록 하며
공인 IP주소를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공개된 인터넷과 사설망 사이에 방화벽을 설치하여 외부 공격으로부터 사용자의 통신망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외부 통신망과 연결하는 장비인 라우터에 NAT를 설정할 경우 라우터는 자신에게 할당된 공인 IP주소만 외부로 알려지게 하며 내부에서는 사설 IP주소만 사용하도록 하여 이를 서로 변환시켜 준다.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P3와 IMAP의 차이점 ?? (0) | 2022.04.13 |
---|---|
SMTP란 ? (0) | 2022.04.13 |
DHCP (0) | 2021.08.24 |
VPN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지 ? (0) | 2021.08.23 |
IT 주소, 기본 게이트웨이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