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재해복구란 자연 재해 또는 인재의 영향으로부터 데이터센터를 보호하는 1차 보호 전략입니다.

재해가 발생할 경우 재해 복구 계획(DRP)을 통해 비즈니스는 신속하게 운영을 재개하거나 재해 도붕 또는 재해 이후에 미션 크리티컬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DR프로세스에는 계획과 테스트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운영 복구를 위해 별도의 물리적 사이트를 마련해야 합니다.

 

DR를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려면 먼저 비즈니스 연속성의 관점에서 재해를 정의해야 합니다. 단순하게 말해

재해는 조직의 운영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모든 것입니다. 사이버 공격,데이터 침해,장비의 장애,자연 재해 및 전선을 갉아먹는 생쥐도 재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손실,인적 오류,멀웨어 및 바이러스,네트워크 및 인터넷 문제,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장애,날씨로 인한 재앙,자연적 홍수 또는 배관 파열로 인한 홍수,사무실 파손 범회 또는 손상 중 하나도 

IT재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DR계획이든 재해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 복구를 통해 운영을 최대한 정상적으로 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회사는 이 위기를 알게 되겠지만,이상적으로는 고객과 최종 사용자가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또한 많은 기업이 타사 제공업체를 통해 별도의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복제 및 호스팅하는 모델인 DRaaS전략을 선택합니다.

설치 및 온보딩 프로세스를 간소화는 네이티브 DRaaS 솔루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공급업체도 있습니다. 온보딩이 완료되면 기업은 DR 보호의 직접적인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이므로 고객의 요구 상이 확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탄력적으로 이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SaaS,PaaS,laaS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2.11.11
Poc란 ??  (0) 2022.10.26
내부회계관리제도 주요 용어 정리  (0) 2022.09.16
도커란 ?  (1) 2022.09.16
API란 ??  (0) 2022.09.13
728x90
반응형

인프라 담당자로써

내부회계가 1년에 한두번꼴로 빈번하다..

 

인프라 담당자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용어를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할 것 같다.. 

 

RCM(Risk Control Matrix)

 

- 위험통제 매트릭스

- 업무 프로세스 설명,리스크 정보,통제활동,경영자 주장,위험통제 테스트 절차 등을 기술한 문서

 

FC(Flow Chart)

 

업무순서도(플로우차트, 업무흐름도)

업무의 흐름을 도식화하고 절차마다 위험요소와 위험을 통제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기술한 문서

 

MRC(Management Review Control)

 

- 관리자 검토 통제 혹은 경영진 리뷰통제라고 부름

- 합리적 판단을 요하는 사항에 대한 관리자의 검토 절차를 규정하고 통제하는 문서 

 

WT(Walk Though)

 

- 재수행 또는 추적시사라고 부름

- RCM내에 설계된 업무 프로세스 및 테스트 절차가 맞는지 확인하고 실제 그 업무 프로세스 및 테스트 절차를 그대로 재수행하여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수단이 됨.

- 추적시 사는 내부통제의 설계상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짐

- 크게 질문,관찰,검사,재수행으로 나뉨

 

WCGW(What Could GoWrong)

 

- 재무제표에 중대한 왜곡표시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이 회사의 프로세스에 존재할 합리적인 가능성을 말함

 

IPE(information Produced by Entity)

 

- 회사가 만들어내는 정보들 

- 실무자가 실무를 하는 과정에서 회사의 IT 통합 시스템을 통해 전산적으로 만들어 내는 자료가 아니라 개인의 엑셀,워드 자료 등 실무자 개인의 PC에서 회사의 IT통합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만들어내는 모든 종류의 문서들을 말함.

- 각종 보고서,기안지,검토분석 엑셀파일,업무연락,사진을 말함.

 

EUC(End User Computing)

 

- 마지막 실무자가 IPE를 IT통합 시스템에 입력하는 행위

- 실무자의 판단을 요하는 대부분의 업무는 실무자가 IPE를 생성하여 그 결과값을 전표로 입력하고 회사는 그 입력된 전표를 총계정원장에 반영하여 손익자료 확정 

 

- 전표를 입력하는 행위가 EUC이 된다.

 

- 내부회계관리제도에서는 이러한 실부자의 Computing에 심각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통제하는 절차 수립

 

Scoping

 

- 내부회계관리제도에서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 계정과목을 식별하고 해당 계정 과목에 대한 통제활동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c란 ??  (0) 2022.10.26
재해복구(DR,Disaster Recovery)란 ??  (0) 2022.09.19
도커란 ?  (1) 2022.09.16
API란 ??  (0) 2022.09.13
NuGet이란  (0) 2022.09.13
728x90
반응형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소프트웨어를 컨데이터라는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여 컨테이너는 라이브러리,시스템 도구, 

코드 등 소프트웨어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다.

 

도커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이다.

 

도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독립적인 환경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장한다.

도커의 핵심 개념은 이미지와 컨테이너다.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가상화 방식인 OS가상화가 아닌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방식을 리눅스 컨테이너라고 한다. 

 

단순히 프로세스를 격리하기 때문에 가볍고 빠르다.

CPU나 메모리는 프로세스가 필요한 만큼만 추가 사용하여 성능적으로 거의 손실이 없다. 

 

컨테이너 특징 

 

- 서버에 여러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독립적으로 실행되어 VM을 사용하는 느낌을 준다.

-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 apt-get이나 yum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설치 가능하며 사용자도 

추가하고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 CPU나 메모리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

- 호스트의 특정 포트와 연결하거나 호스트의 특정 디렉토리를 내부 디렉토리인 것처럼 사용 가능 

- 새로운 컨테이너를 만드는데 1~2초로 매우 빠르다.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해복구(DR,Disaster Recovery)란 ??  (0) 2022.09.19
내부회계관리제도 주요 용어 정리  (0) 2022.09.16
API란 ??  (0) 2022.09.13
NuGet이란  (0) 2022.09.13
BOM이란 ??  (1) 2022.09.13
728x90
반응형

1. 정방향 영역

 

- DNS 서버에 도메인 주소를 전송하면 IP주소를 전송하는 것 

- DNS 질의(Query)에 대해 어떤 형태의 IP주소를 응답할지 결정

 

윈도우의 DNS관리자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새 영역 메뉴가 나타남

 

설정 방법

 

[DNS 관리자]

 

새 영역 마법사 실행

영역 형식 : 주 영역

영역 이름 : www.sonyhenry.com  

영역 파일

- 도메인 주소에 자동적으로 DNS가 붙여짐

- 영역 파일명을 변경해도 됨

- 다른 이름으로 새 파일 만들기 : ww.sonyhenry.com.dns

- 동적 업데이트 

-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함 

 

DNS관리자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을 보면 추가된 정방향 조회 영역을 확인할 수 있음 

 

2.역방향 영역

 

- 역방향 영역

- 사용자 PC에서 IP주소를 전송하면 DNS서버가 도메인 주소를 응답하는 서비스 

- 윈도우의 DNS관리자에서 역방향 조회 영역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새 영역 메뉴가 나타남 

 

설정 방법

 

[DNS 관리자]

 

새 영역 마법사 실행 

영역 형식 : 주 영역 

역방향 조회 영역 영역 이름 

- IPv4 역방향 조회 영역 

- 네트워크 ID : 210.101.10

- C Class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ID 입력

 

영역 파일 

- IP주소에 자동적으로 dns라는 것이 붙여짐

- 영역 파일명을 변경해도 됨 

- 10.101.210.in-addr.arpa.dns

- 동적 업데이트

 

-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함

- DNS관리자에서 역방향 조회 역영을 보면 추가된 역방향 조회영역 확인 가능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ARP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Relay란 ??  (0) 2022.04.13
728x90
반응형

API란 ?

 

AP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현재 금융,소셜,전자 상거래,등 기타 여러 업종을 위한 수백 개의 API가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모든 작업은 물론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수행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는 작업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지난 5년동안 가장 빠르게 성장한 API 범주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PI는 레스토랑의 점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API는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를 운영하는데 필수적입니다. API를 통하여 비즈니스 사용자와 IT부서는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수익을 개선 할 수 있습니다. 혁신적인 고객 접근 방식을 하게 될때 API를 활용하면 편리 합니다.

 

OPEN API 

 

open API는 외뷰 사이트와 자유롭게 활용 및 공유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외부 개발자는 이러한 API 내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공개문서를 제공하지 않아 개발자가 승인을 위해 앱을 제출할 수 있도록 허용한 후 일부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회계관리제도 주요 용어 정리  (0) 2022.09.16
도커란 ?  (1) 2022.09.16
NuGet이란  (0) 2022.09.13
BOM이란 ??  (1) 2022.09.13
SBOM이란 ??  (0) 2022.09.06
728x90
반응형

NuGet 

 

최신 개발 플랫폼에 필수적인 도구로 개발자가 유용한 코드를 작성,공유 및 사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입니다. 대부분 이러한 코드는 패키지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다른 내용과 함께 컴파일된 코드를 포함하는 패키지로 제공 됩니다.

 

NET의 경우 코드를 공유하는 Microsoft 지원 메커니즘은 NuGet입니다. NET용 패키지를 만들고 호스트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하여 역할에 대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NuGet 패키지는 컴파일된 코드,해당 코드와 관련된 다른 파일 및 패키지의 버전 번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 설명적 매니페스트가 포함된 nupkg 확장명의 단일 ZIP 파일 입니다. 공유할 코드를 가진 개발자는 패키지 파일을 만들어 호스트에 게시합니다. 패키지 소비자는 적합한 호스트에서 패키지를 받고 프로젝트에 추가한 다음, 프로젝트 코드에서 패키지 기능을 호출합니다. NuGet 자체에서 세부 정보를 처리합니다.

 

NuGet은 공용 nuget.org 호스트와 함께 전용 호스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NuGet 패키지를 사용하여 조직 또는 작업 그룹에 독점적인 코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고유한 코드를 고유한 프로젝트에서만 사용하도록 팩터링하는 편리한 방법으로 

NuGet 패키지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NuGet 패키지는 공유 가능한 코드 단위이지만, 특정 공유 방법을 필요로 하거나 

의미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란 ?  (1) 2022.09.16
API란 ??  (0) 2022.09.13
BOM이란 ??  (1) 2022.09.13
SBOM이란 ??  (0) 2022.09.06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SDLC)란 ??  (2) 2022.09.05
728x90
반응형

BOM (Bills of Material)

 

특정 제품이 어떤 부품들로 구성되는 가에 대한 데이터로 

한 완성된 전자제품의 생산부터 제작에 필요한 모든 부품의 정보를 담은 것 

제품 구조 정보,Part Master 정보, Plant Record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Part List라고도 불립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BOM은 한 품목을 만드는데 필요한 조립품과 반 조립품 부분품 원자재의 목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품구조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생산에 필요한 제품의 모든 정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한 것을 뜻합니다.

 

BOM의 용도 

 

설계 구조와 어떤 내부제품 생산을 위해 필요한 부품이 무엇인지.

제품의 원가정보를 기록함으로 원가 또한 식별이 가능하며,

자료를 참조해 구매/생산 일정을 수립하고 

자재부족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BOM 구조 및 표현

 

BOM TREE(나무) 구조 : 완제품을 최상위에 두며 그 밑으로 필요한 반조립품들이 아래에 존재하는 형태

 

BOM 전개 

 

- 단일계층 BOM : 

모품목에 대한 자품목의 리스트로 MRP에 사용되기 위해 컴퓨터에 저장되는 형태로 조립품과 구성품에 대해 자품목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된 형태 

- 톱니모양 BOM : 

나무구조를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주거나 프린터로 출력시 많이 사용되는 BOM 방식으로 단일계층 BOM을 참조해 

쉽게 만들 수 있음, 품목 앞의 접 수가 계층을 나타냄

- 요약된 BOM : 

특정 제품에 소요되는 총수량을 집계하여 보여주는 BOM

 

MRP :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소요계획

 

유효성 

 

완제품 또는 특정 시점형상을 명문화 한 것 

날짜,일련번호,작업단위 등의 기준이 존재

- 날짜 유효성 

적용 시기 및 범위가 날짜에 의해 생성됨 

- 일련번호 유효성 

특정 모델 및 구분에 속한 일련번호나 호기별 적용 방식 항공기, 선박 등 수주 방식의 제품에 적용되는 유효성 

- 기본작업단위 유효성

동일 제품이라도 기본작업단위에 따라 제품 질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 필수적으로 사용

주문에 의한 배치생산 방식을 적용 

 

설계 BOM (기술 BOM,EBOM,Engineering BOM)

 

설계자의 시각에서 본 제품의 형상을 뜻하며 설계자의 전문분야에 대해 부품이 분류되는 특성을 가짐

 

제조 BOM 

 

생산의 편의성 위주로 만들어 지며 BOM 구조에 생산 순서를 포함하고 있음 

* EBOM과 MBOM은 일치하여야 함

 

정확도 유지 기법 

 

품목식별번호를 고려해야 함 (각 품목은 유일한 번호를 가짐)

품목식별번호는 여러개의 부서에서 하나로 통합되는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감사절차를 구축해 정기적 감사를 수행해 데이터의 수행에 데이터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 

 

계획 BOM 

 

- 모듈화 BOM : 

 

계획 BOM의 대표적인 형태로 작성된 BOM 자료에서 최상위를 제거하여 구성하는 것 

실제 완제품의 정보가 제외된 BOM이라고 할 수 있음 

 

- 슈퍼 BOM : 

 

완제품에 들어가는 제품그룹을 두고 그 밑에 생산 가능한 모든 부품믕ㄹ 횡으로 배치해 

각 모듈별 필요 예상 비용을 가지는 BOM

- 추가삭제(Add/Delete) BOM : 

표준 BOM을 정해놓고 신규제품이나 특수제품이 표준제품과 비교해 어떤 부품이 달라지는지 정의하는 것으로 

비교 BOM이나 동일 BOM이라고 함

 

계획 BOM 작성시 공용 BOM 조합 BOM을 활용해 공통적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품목은 줄여서 작성함이 바람직 

 

공용 BOM : 구조부품이나 중요하거나 큰 부품 

조합 BOM : 잡자애의 꾸러미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란 ??  (0) 2022.09.13
NuGet이란  (0) 2022.09.13
SBOM이란 ??  (0) 2022.09.06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SDLC)란 ??  (2) 2022.09.05
FIDO란 ??  (0) 2022.09.05
728x90
반응형

 

미국의 국가 사이버 보안 강화 지침이 배포된 이후, 소프트웨어 산업의 다양한 채널에서 SBOM과 관련한 자문이나 회의가 생기고 있는 상황 입니다.

최근의 보안 위협은 공급망,구축도구,구축환경,레파지토리등을 공격하는 추세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 지침에서 미국 연방정부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공급망의 보안과 무결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지시하고 있습니다.

 

SBOM이란 ?

 

SBOM은 SOFTWARE BILL OF MATERIALS의 양자로 소프트웨어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의미하는데 이를 쉽게 설명하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제품의 성분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SBOM은 공급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 목록을 잘 표시해서 공급자와 사용자가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Get이란  (0) 2022.09.13
BOM이란 ??  (1) 2022.09.13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SDLC)란 ??  (2) 2022.09.05
FIDO란 ??  (0) 2022.09.05
CTI란??  (0) 2022.09.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