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OP3/IMAP 

 

유저가 메일서버에서 메일을 받기 위한 프로토콜

 

POP3 

 

받는메일이라고 불리는 POP서버 이메일을 받아오는 표준 프로토콜 

TCP 포트번호는 110번

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로컬 PC로 수신 받을 수 있는 client/server 프로토콜이다. 메일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을 로컬 PC로 가져오는 역할 POP3는 서버에서 메일을 받아오는 즉시 삭제되도록 만들어 졌지만 서버저장 설정은 가능하다. 스토리지용량에 제한있는 경우 유리

 

IMAP 

 

POP와 같이 메일 서버 종류 중 하나이다. TCP포트번호는 143번

POP와는 달리 중앙 서버에서 동기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모든 장치에서 동일한 이메일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태블릿,PC모두 동일한 받은메일/보낸메일/기타폴더 등 모든 이메일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서버에 이메일이 남겨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메일을 열람할 수 있다.

메일이 서버에 저장되어있기 때문에 로컬PC에 문제가 생겨도 이메일에는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차이점 정리

POP3 IMAP

- 메일 서버에서 로컬장치로 이메일을 다운로드 받음
- 수신함 즉, 받은 메일만을 다운로드 하여 조회 가능
- 로컬장치로 다운로드 시,서버에서는 이메일 삭제 
-오프라인지원

- 메일 서버에서 동기화가 이루어짐
- 수신함 뿐만 아니라 모든 메일함을 조회 가능
- 서버에 이메일 실시간 존재.
- 온/오프 모두 지원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Relay란 ??  (0) 2022.04.13
SMTP란 ?  (0) 2022.04.13
NAT IP란..??  (0) 2021.12.29
DHCP  (0) 2021.08.24
728x90
반응형

 

SMTP란 ?? 

 

- 인터넷에서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한 전송규약 및 프로토콜

- 메일서버 간 메일을 주고 받을때 SMTP 사용

 

실무에서 쓰이는 용도로는 SMTP(25)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자메일을 발신하는 서버로써 사용됨

이와 관련되어 POP3 방식과 IMAP 방식이 있으며 이는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가져오는 것과 

메일 서버에 직접 접속해서 메일을 관리하는데 차이점이 있다.

 

메일을 보낼때는 바로 상대편의 컴퓨터로 메일 송신 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메일서버라는 곳을 몇군데 거치게 된다.

메일서버에 메일이 보관되고 그것을 다시 다른 메일서버에 보내면서 결국 보내고자하는 end-user에게 전해진다.

 

순서 : 

 

1. 연결 설정 단계 : SMTP 클라이언트가 TCP를 이용해 SMTP 서버와 세션을 설정

2.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SMTP 서버에 메일을 보내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

3. 메일 전송을 완료하면 TCP 연결을 종료하는 연결해제 단계가 진행되며 SMTP가 종료됩니다.

 

중계전달자 역할을 함으로써 메일서버간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낼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교환할 때 그 과정을 정렬 해줌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y란 ??  (0) 2022.04.13
POP3와 IMAP의 차이점 ??  (0) 2022.04.13
NAT IP란..??  (0) 2021.12.29
DHCP  (0) 2021.08.24
VPN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지 ?  (0) 2021.08.23
728x90
반응형

NAC 

 

엔드포인트 / 보안 솔루션

 

외부에서 내부망을 쓰려고할때 처음에 모두 차단

 

DLP 

 

워터마킹,웹사이트,USB메체제어 보안솔루션

 

서버로 들어가는 방화벽 1차 

 

DBSAFER

 

DB 권한 부여 및 2차 차단 

 

WBlock5

 

스팸메일 차단 예외 처리가능

 

앱체크

 

랜섬웨어 탐지

 

DNS 

 

도메인 따서 DNS 이중화

 

IIS

 

웹사이트 추가 

FTP 추가

 

APC

 

중앙 관리 통제가능

V3 통합 모니터링 

 

클라우드 

 

가비아 

 

VPN 

 

VPN 계정 생성

 

NAS 

 

파일서버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rflow란 ??  (0) 2022.07.18
이메일 관련 보안 기술 SPF,DKIM,DMARC에 대하여 알아보자  (0) 2022.06.30
Batch란 ??  (0) 2022.06.16
DNS란 ?  (0) 2022.05.17
DLP와 DRM의 차이점  (0) 2022.05.17
728x90
반응형

AWS 주요 제품 이해하기 

 

AWS 제품별 서비스 이해하기

 

애플리케이션 통합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블록체인 

 

-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 및 관리

- 완전관리형 원장 데이터베이스 

- 조정 가능한 블록체인 및 원장 솔루션을 손쉽게 구축

- AWS는 조정 가능한 비즈니스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원장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방법 제공 

 

블록체인 제품

 

Amazon QLDB 

 

- 완전관리형 원장 데이터베이스 

- 중앙의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소유하는 투명하고 변경 불가능하며 암호화 방식으로 검증 가능한 트랜잭션 로그 제공

- 모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변경 내용을 추적하며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시간대별 변경 기록을 유지 관리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 Alexa for Business(Alexa로 조직의 역량 강화)

- Amazon Chime(편리한 회의, 화상 통화 및 채팅)

- Amazon WorkMail(안전한 이메일 및 일정 관리)

 

Alexa for Business 

 

- 조직 및 직원이 알렉사를 사용하여 더 많은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 직원이 Alexa를 지능형 비서로 사용하여 회의실이나 자신의 책상에서 심지어 이미 집에 있는 Alexa 디바이스로도 좀 더 생산성 향상 가능

최종 정리

 

AWD는 분석,애플리케이션 통합,증강현실 및 가상현실,AWS비용관리,블록체인,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컴퓨팅,고객 인게이지먼트,데이터베이스,개발자 도구,최종 사용자 컴퓨팅,게임기술,사물인터넷,기계학습,관리 및 거버넌스,미디어 서비스,마이그레이션 및 전송,모바일,네트워킹 및 콘텐츠 전송,스토리지 등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응형

'I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VPC란 무엇인가 ?  (0) 2022.11.10
[AWS] VPC란 ??  (0) 2022.08.11
AWS 주요 서비스  (0) 2022.02.21
아마존 웹 서비스 Cloud 개요  (0) 2022.02.09
728x90
반응형

Amazon Elastic Compute Cloud(EC2)

 

클라우드의 가상 서버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에서 제공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

 

- 클라우드에서의 확장 가능한 스토리지 

 

Amazon Aurora 

 

- 관리형의 고성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Amazon DynamoDB

 

- 관리형 NoSQL 데이터베이스

Amazon RDS 

 

- MYSQL,PostgreSQL, Oracle, SQL Server 및 MariaDB를 위한 관리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WS Lambda

 

Amazon VPN

 

Amazon Lightsail

 

Amazon SageMaker

 

 

 

반응형

'I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VPC란 무엇인가 ?  (0) 2022.11.10
[AWS] VPC란 ??  (0) 2022.08.11
AWS 주요 제품 이해하기  (0) 2022.02.23
아마존 웹 서비스 Cloud 개요  (0) 2022.02.09
728x90
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 기반 컴퓨팅의 일종으로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 공유 컴퓨터 처리 자원과 데이터를 컴퓨터와 다른 장치들에 요청시 제공해줌

- 구성 가능한 컴퓨팅 자원 (예 : 컴퓨터 네트워크,서버,스토리지,애플리케이션,서비스)에 대해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한 주문형 접근을 가능케 하는 모델이며 최소한의 관리 노력으로 빠르게 예비 및 릴리스를 가능케 함

- 클라우드 컴퓨팅과 스토리지 솔루션들은 사용자와 기업들에게 개인 소유나 타사 데이터 센터의 데이터를 저장,가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도시를 거쳐 전 세계로까지 위치해 있을 수 있음

- 클라우드 컴퓨팅은 전기망을 통한 전력망과 비슷한 일관성 및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 공유에 의한다.

 

AWS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Amazon Web Services(AWS)

 

-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 데이터 센터에서 165개가 넘는 완벽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세계적으로 가장 포괄적이며,

널리 채택되고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

 

-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 가장 큰 규모의 엔터프라이즈,주요 정부 기관을 포함하여 수백만 명의 고객이 AWS를 믿고 인프라를 강화하고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고 있음

 

AWS

 

- 웹과 모바일의 애플리케이션,빅테이터 프로젝트,소셜 게임,모바일 앱에 이르는 거의 모든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집합을 제공함

 

클라우드 제품

 

AWS 보안 

 

- 보안,자격 증명 및 규정 준수 제품

 

AWS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 - 클라우드 보안

 

AWS 고객은 위험에 가장 민감한 조직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도록 구축된 데이터 센터 및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혜택을 주릴 수 있음

 AWS 아키텍처 

 

- AWS 산업용 예측 유지 보수 기계 학습 모델

 

반응형

'I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VPC란 무엇인가 ?  (0) 2022.11.10
[AWS] VPC란 ??  (0) 2022.08.11
AWS 주요 제품 이해하기  (0) 2022.02.23
AWS 주요 서비스  (0) 2022.02.21
728x90
반응형

 

SELECT :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때 사용하는 구문

 

* : 모든 컬럼들의 값을 보여달라는 뜻 ( 그 이외에 것들을 입력하면 그것들만 입력 가능)

 

FROM : ~로 부터 어느 테이블부터 조회할지 (FROM 뒤에 나오는 건 해당 테이블 조회 

 

WHERE : 조건문 조회할때

 

맨 뒤에는 ; 세미콜론을 꼭 붙힘 

 

LIKE 문 : LIKE문 안의 내용을 조회 할때 

% : % 사이의 공백 

 

같지 않음 : !=,<>

이 중에 있는 ~ (IN)

한 글자를 나타내는 _ 

 

DATE 데이터 타입 관련 예시 

 

반응형

'IT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SGA와 PGA  (0) 2022.09.21
[Oracle] 오라클 아키텍처 구성요소 3대 필수 항목  (0) 2022.09.21
[DB]데이터타입과 키 타입  (0) 2022.01.07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0) 2022.01.03
[SQL] SUBQUERY,NESTED SUBQUERY  (0) 2021.11.30
728x90
반응형

데이터타입 종류 

 

정수(integer) - INT 

 

실수형데이터타입 - DOUBLE 소수점까지 표현가능 

 

문자열 - TEXT  

 

member table의 식별키 - id 

 

NN - NOT NULL(널이 아니다)

 

NOT NULL - 적용 값에는 반드시 어떤 값이 들어가야 한다.

 

NULL - 값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NULL은 값이 없다는 의미  

 

Primary key - 테이블에서 하나의 row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column

 

Primary key는 반드시 NOT NULL 

 

1.Natural Key 

 

실제로 어떤 개체가 갖고 있는 속성을 나타내는 컬럼이 Primary Key가 됐을 때 이를 Natural Key라고 한다.

사람은 주민번호 책은 ISBN으로 

 

2.Surrogate Key 

 

설정했던 id 컬럼같은 Primary Key를 의미 어떤 회원의 속성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컬럼은 아닙니다.

제가 Primary key로 사용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생성한 컬럼 입니다. 어떤 개체의 실제 속성은 아니지만

Primary key로 쓰기 위해 추가한 컬럼을 Surrogate key라고 합니다. 

 

보통은 Surrogate Key를 많이 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