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허브

 

많은 포트를 가진 허브에 컴퓨터를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라우터에 연결된 허브에서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공유기 역시

허브의 역할을 겸임하여 여러 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우터를 사용하건 공유기를 사용하건 구성은 같습니다.

 

스위치

 

다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스위치,허브 모두 동일합니다. 스위치는 자신의 포트에 연결된 MAC Address를 저장/관리하기 때문에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대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한 컴퓨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모든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에 뿌리지 않고 목적지 포트에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스위치는 전이중 방식을 지원합니다. 그렇기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더 빠른 속도를 보장합니다. 

스위치와 허브를 가르는 가장 큰 차이점이 바로 VLAN 입니다.

 

LAN이란 ARP Request의 모든 범위 

 

ARP는 각 컴퓨터가 갖는 IP Address에 매칭되는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한 Protocol 입니다.

ARP Request는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와 컴퓨터에 모두 전달 됩니다.

이렇게 송신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연결된 모든 컴퓨터가 전달받는 방식을 브로드캐스트라고 합니다. 

ARP가 Broadcast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 입니다

 

연결된 컴퓨터의 숫자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발생하는 Broadcast의 양이 많아집니다.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브로드캐스트로 점점 가득찰 것이고, 데이터 전달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질 것이며 시도 때도 없이 날아오는 브로드캐스트를 처리하는 컴퓨터는 다른 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VLAN이란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개의 구별되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만들기 위해 단일 2계층 네트워크를 분할할 수 있는데 

분리되면 패킷들은 하나 이상의 라우터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도메인을 가상 랜,VLAN으로 표기한다.

 

VLAN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VLAN을 다수 생성할 수 있고 이 VLAN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나누어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VLAN이 설정된 포트에 연결된 단말의 IP 대역만이 통신이 가능하며 

다른 VLAN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Layer 3이상의 스위치 혹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VLAN은 1 ~ 4096까지의 번호를 사용하여 VLAN을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이를 VLAN ID라고 합니다. 즉 VLAN이란 브로드캐스트가 서로 미치지 않는 여러 개의 논리적인 LAN을 만드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포트에 설정된 각각의 VLAN을 보고 트래픽 전달 여부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PC 1이 연결된 스위치의 e2의 포트는 VLAN이 10이므로 동일한 VLAN 10이 설정된 포트로만 브로드캐스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VLAN의 기본 목적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할에 부합합니다. 

 

VLAN 통신을 위해선 Layer 3 이상의 장비인 라우터 혹은 L3 스위치를 통해 이동해야 합니다. 

VLAN 간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Inter-VLAN Routing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영역 (정방향,역방향)  (0) 2022.09.14
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ARP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Relay란 ??  (0) 2022.04.13
728x90
반응형

LAN이란 ?

 

LAN으로 불리는 근거리 통신망은 동네의 의미와 일맥상총합니다. LAN 또한 네트워크 규모를 어디까지 잡느냐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며 크기가 제각각일지라도 한 가지 규칙이 그 기준이 됩니다. 

 

동네를 자신의 집을 중심으로 가깝다고 판단하는 지근거리라고 말씀드린 것처럼 LAN은 자신이 사용하는 IP 대역을 중심으로 변동 가능한 Subnet Mask 내 범위를 가리키는 것 입니다.

 

LAN과 ARP 

 

LAN이라면 꼭 지켜야할 Protocol이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ARP로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Protocol입니다. LAN에 소속된 단말들은 ARP를 이용하여 LAN 내 다른 컴퓨터의 IP와 물리적 주소를 확인, 매칭시키고 매칭된 정보가 적힌 ARP Table을 보유 합니다. LAN에서는 물리적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컴퓨터에서 LAN 내 또라른 컴퓨터로 접속하고자 할 경우 IP를 지정하여 접속을 요청하면 이를 ARP Table에 매칭하여 해당 IP에 대한 물리적 주소를 목적지로 지정하여 찾아가게 됩니다.

 

동일한 IP 대역과 Subnet Mask를 갖는다면 그 안의 모든 단말들은 ARP의 영향을 받게 되며 LAN 내 모든 단말에 대한 ARP Table을 보유하게 됩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영역 (정방향,역방향)  (0) 2022.09.14
V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ARP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Relay란 ??  (0) 2022.04.13
728x90
반응형

ARP 란 ?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를 MAC 주소와 매칭 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입니다.

ARP를 사용하는 이유는 로컬 네트워크(LAN)에서 단말과 단말 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함께

MAC 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IP 주소를 MAC Address와 매칭하여 목적지 IP의 단말이 소유한 MAC 주소를

향해 제대로 찾아가기 위함입니다 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매칭하여야 할까요 ?

해당 이유를 알기위해서 LAN과 MAC주소레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LAN이란?

 

근거리 통신망,로컬 영역 네트워크, 구내 정보 통신망은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집,사무실,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LAN은 ARP Request가 미치는 영역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ARP Request Packet이 전달되가만 하면 LAN이라 보는 것이죠. 같은 IP 대역을 공유하는 LAN에서 단말간 통신을 하기 위해 다시 말해 Layer 2에서의 통신에서 사용자는 IP 주소를 목적지로 지정하지만 실제로 MAC주소를 이용해 목적지를 찾습니다. 이에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칭하기 위해 ARP가 사용되는 것을 의미 합니다.

 

MAC 주소란 ?

 

MAC 주소란 IP Address와 함꼐 언급되는 주소로써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로 NIC를 가진 단말이라면 공장에서 출고될 때 부여되고 평생 사용하는 고유한 주소를 의미합니다. 

LAN에서 목적지와 통신하기 위한 실질적인 주소가 바로 MAC 주소 입니다.

 

네트워크 장비 혹은 컴퓨터는 모두 MAC 주소를 갖습니다. 네트워크 장비 혹은 컴퓨터가 갖는 Network lnterface Card마다 MAC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LAN에서는 IP 주소를 MAC 주소에 매칭하여 통신합니다.

 

IP 주소는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MAC 주소 체계가 없는 상황을 가정하고 IP주소만 있는 상황에서 PC0 사용자가 자신의 IP를 192.168.1.2로 바꾸면 PC0와 PC1 모두 192.168.1.2 IP를 갖게 됩니다. 사람은 동명이인이라도 주민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지만 MAC 주소 또한 웬만해서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MAC 주소를 사용하여 전달하는 것이 확실하기에 그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ARP란 ? 

 

단말간 통신에서 양쪽 단말은 IP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하지만 실제 데이터 이동을 위해 MAC 주소를 함꼐 이용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ARP이며 IP주소와 MAC주소를 일대일 매칭하여 LAN에서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대응하여 테이블로 정리하고 목적지 IP에 맞는 목적지 MAC 주소로 전달하지요.

이것을 ARP Table이라고 부릅니다.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매칭시킨 정보를 정리해둔 Table을 뜻합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Relay란 ??  (0) 2022.04.13
POP3와 IMAP의 차이점 ??  (0) 2022.04.13
728x90
반응형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네트워크 통신은 OSI 표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여러분이 인터넷에 접속 할 수 있는 것도 

일상 생활에서 모든 접속은 OSI 7 Layer 덕분입니다.

저는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IT인프라 담당이기에 OSI 7 Layer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것 같네여 

OSI 7 Layer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인프라에 대한 이해가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저도 면접 볼때 OSI 7 Layer 질문을 많이 받은 것 같네요. 

 

OSI 7 Layer

 

OSI 모형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계층 모형이라고 하는데 이 모델을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것이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프로토콜 스택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들은 하드웨어 상위 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출처 : https://shlee0882.tistory.com/110

 

네트워크 통신 시 송신자와 수신자가 지켜야 할 각 단계의 규칙을 뜻하며 위로 갈수록 Application에 가까워지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Cable에 가까워집니다. 아래로 내려 갈수록 Protocol Header가 추가되어 계층 정보를 덧붙입니다. 계층을 나눈 이유는 장애 발생 시 어느 구간이 발생하였는지 보다 명확하게 알기 위함입니다. 

 

Application Layer(7 Layer) 

 

사용자가 UI로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계층으로 HTTP,FTP,DHCP,SMTP,DNS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 속한 프로토콜들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사용자와 직접 접하게 됩니다. (Data + HTTP Header)

 

Netword Layer(3 Layer)

 

IP이 활용되는 부분으로 한 Endpoint가 다른 Endpoint로 가고자 할 경우 경로와 목적지를 찾아줍니다.

이를 Routing이라고 하며 대역이 다른 IP들이 목적지를 향해 제대로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IP Header)

 

DataLink Layer(2 Layer)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합니다. 'MAC address'를 활용하여 같은 구간 내의 Endpoint 혹은 Switching 장비에 전달하여 1 Layer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에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찾아냅니다.

(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IP Header + Ethernetframe Header)

 

Physical Layer(1 Layer)

 

'Cable'로 대표되는 물리적인 계층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입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ARP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Relay란 ??  (0) 2022.04.13
POP3와 IMAP의 차이점 ??  (0) 2022.04.13
SMTP란 ?  (0) 2022.04.1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 

 

오늘은 직장인이 부업으로 유용하게 

할 수 있는 

앱테크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 !! 

 

시장조사를 하고 있는 

엠브레인이라는 기업인데여 ~ 

강남역에 위치해 있으며

코스닥에도 상장되어 있습니다. 

 

엠브레인에서 운영하는 

엠브레인 패널로 활동하시게 되면

달 마다 1~2만원씩 포인트를 얻어

현금화 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를 받는 방법은 바로 ! 

엠브레인에서 앱이나 메일로 오는

설문조사를 성심성의껏 답변해주시면 됩니다 ~ 

 

그렇게 모은 포인트를

현금화 하거나 다른 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요새 만원 벌려면 어디가서

제 시간을 한 시간 투자해야하는데여 ~ 

자투리 시간에 틈틈히 설문조사하고

부수익 얻어가면 좋을 것 같네여 *.* 

 

엠브레인 패널 가입 하러 바로 가기 

 

 

위의 링크 클릭하셔서 들어가면

엠브레인 패널로 활동 하실 수 있습니다 ~ !! 

 

그 외에 엠브레인 홈페이지의

좌담회 신청하시면 

 

2시간 이야기하고 

5~6만원을 받아가실 수 있어요 ~ 

 

오늘은 직장인 앱테크로 

엠브레인 패널 활동 및 좌담회 부업을 

소개해드렸습니다 ~ !! 

 

작은 돈도 소중히 여겨가면서 

해야겠네여 ~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늦은 5월 결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3월에 빚투로 어느정도

수익을 갖고 

 

4월에 부동산 잔금 치루고.. 

5월에 주식을 보니까 

 

또 빚투해도될만한 거 같아서 ~ 

5월에도 담갔습니다.. 

 

기존에 50% 수익률을 가지고 있던

엔비디아 마소 등등이 50% 떨어져서

이때다 싶어 

떨어진 테슬라,엔비디아,마소를 좀더 

줍줍했습니다.

 

그 외에 블랙록도 조금 줍줍하여 수익을 봤네여 ~ ㅎㅎ 

 

5월 배당금으로 

 

애플 - 3.71 

오메가 헬스케어 14.81

스타벅스 - 9.99 

 

이렇게 3종목에서 

 

28.51 달러를 받았네영 *.*

 

스타벅스도 많이 떨어졌는데.. 

배당 더 받을려고 줍줍 중입니다.. ㅎㅎ 

 

다들 장이 안좋아서 

주식시장을 떠나가는데 

 

저는 홀연히 지켜나가보려고 합니다.. ㅎㅎ 

 

 

반응형
728x90
반응형

SAP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운영하다가 보면 ASCS,PAS,AAS라는 것들을 접하게 됩니다.

좀 오래된 시스템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CI,DI라는 것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AP System은 크게 3가지 컴포넌트로 구분 됩니다.

 

ASCS (ABAP SAP Central Service)

 

AS(Application Servers)

 

DB(Database)

 

 

 

ASCS (ABAP SAP Central Service)

 

ASCS는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 Message Sever : 뒤에서 살펴볼 ABAP Dispatcher 간의 통신을 담당하고 한 쪽에서 부하가 몰리지 않도록 부하분산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Euqueue Server : Lock Table을 관리합니다. 즉 Lock Request를 받으면 현재 걸려 있는 Lock과 충돌이 발생하는지 확인한 다음 실제로 Lock을 걸지 말지 결정합니다.

 

AS (Application Servers)

 

Application Server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PAS (Primary Application Server) : 첫 번째로 설치되는 Application Server 입니다.

- AAS (Additional Application Server) : 추가로 설치되는 Application Server로 노드를 여러 개로 두어서 부하를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PAS와 AAS는 구성상 별반 차이가 없으며 각각은 모두 아래의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 Dialog Work Process :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 합니다. 즉 ABAP 구문이 한줄한줄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Update Work Process : DB Update를 수행합니다.

 

- Background Work Process :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없는 백그라운드 작업을 수행합니다.

 

- Gateway : SAP System간의 통신, SAP System과 Non-SAP System간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 ICM (Internet Communication Manager) : HTTP,HTTPS와 같이 WEB 통신을 담당

 

- ABAP Dispatcher : 사용자의 요청들을 받아서 요청을 처리할 Work Process에게 할당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비슷한 개념으로 Web Dispatcher도 있습니다. Web Dispatcher는 

 

- IGS(Internet Graphics Service) : Web으로 구동되는 서비스들을 동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DB(Database)

 

말 그대로 DB

 

ERS 

 

ERS는 Enquece Relpication Server의 약어로 HA(High Availability)구성을 할때 Lock Table 정보를 노드 간에 동일하게 관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한쪽에서 Lock을 잡고 있는데 다른 쪽에서 그걸 모르면 안됨 

 

CI (Central lnstance), DI(Dialog lnstance)

 

PAS와 AAS는 과거에 다른 이름으로 불림

 

 

CI -> PAS -> ASCS+PAS

 

과거에 PAS와 ASCS는 하나로 합쳐져 있었습니다. CI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이 CI는 언제부턴가 이름이 PAS로 바뀝니다 PAS의 역할 중에 Message Server와 Enqueue Server만 뗴어내서 

ASCS라는 것을 만들어냅니다.

 

DI -> AAS

 

과거 PAS가 CI라는 이름으로 불릴때, AAS라는 DI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SAP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CTS를 넘긴다, CTS 딴다 이런 얘기들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CTS가 무엇인지 이에 따라 접하게 되는 TMS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CTS 

 

SAP 시스템은 보통 개발-검증-운영 3 Landscsape로 구성됩니다. 

 

개발 시스템에 개발한 ABAP 프로그램 같은 것들을 운영 시스템에 반영해야 할 때가 찾아오는데 

이럴 때에 쓰는 것이 CTS 입니다. 변경사항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으로 여기의 Target을 말하면

개발 시스템의 Target 시스템은 검증 시스템이고 검증 시스템의 Target시스템은 운영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변경사항을 CTS를 통해 반영하려면 Change Requset라는 것을 생성하고 릴리즈 해주어야 합니다.

Change Request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은 ABAP Program변경이나 오브젝트 생성 같은 SAP Software에 대한 변경사항입니다. 데이터 자체는 넘길 수 없습니다.

 

Change Request는 클라이언트 단위로 발생합니다. 개발 시스템 100클라이언트에서 검증 시스템 200 클라이언트로 넘기는 것 처럼 말이죠 

 

TMS 

 

CTS안에는 TMS라고 하는 관리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 TMS를 사용해서 Transport Domain을 생성/관리하고 System Landscape를 구성 관리 할 수 있습니다.

 

Transport Domain이란 쉽게 말해 변경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그룹을 말합니다. 이 Transport Domain 내에 있는 시스템끼리만 변경사항 적용이 가능 

 

 

STMS T 코드를 입력 하여 Transport Routes 버튼 클릭

 

 

위의 캡처를 보면 Transport Layer, 전달이라고 되어 있다.

 

개발 시스템인 S4H에서 검증 시스템인 SEQ로 가는 것에는 Transport Layer로 연결되어 있고 검증 시스템에서 운영 시스템인 PRD로 가는 것에는 Delivery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개발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를 변경하면 Change Request를 통해 검증 시스템으로 넘어갑니다. 이럴때 변경한 오브젝트가 SAP Standard Object라면 SAP라고 이름 붙여진 Transport Layer를 통해 검증 시스템으로 가고 CBO Object라면 ZTEP라고 붙여진 Transport Layer를 통하여 갑니다 

 

이 글의 위해서 Change Request를 릴리즈해야 다음 시스템으로 넘어간다고 하였는데 전달로 연결된 시스템 간에는 릴리즈가 따로 필요 없습니다. 승인 절차는 따로 필요합니다.

 

이렇게 Transport Layer와 Delivery를 나눈 이유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테스트만 하고 테스트 후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개발 시스템에서 다시 수정하고 절차에 따르라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IT > S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사용자 잠금 해제 및 P/W 초기화  (0) 2022.06.13
ASCS,PAS,AAS의 개념  (0) 2022.05.27
CIM과 SAP CR Content?  (0) 2022.05.27
SAP에서 SLD와 LMDB란 ?  (0) 2022.05.26
SAP DB와 Maxdb란 ?  (0) 2022.05.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