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LP와 DRM 

 

DLP와 DRM은 모두 문서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지만 둘의 동작 방식은 전혀 다릅니다. 

DLP는 데이터가 흐르는 경로나 애체를 차단하고 키워드와 패턴 등으로 유출을 막는 반면

DRM은 데이터 암호화를 통한 권한 관리 방식입니다.

방식의 차이로 사용되는 기술과 어플리케이션 호환 문제, 장/단점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DLP란? 

 

DLP는 Data Loss Prevention의 약자로 데이터 손실 방지를 의미합니다.

데이터의 흐름을 감시하여 기업 내부 중요 정보에 대한 유출을 감시/차단하는 방식 

 

기밀정보로 분류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는 넓은데 기업 구성원에 대한 정보와 기업 운영 프로세스, 고객과 직원에 관한

신원확인 정보, 영업정보, 재무제표, 마케팅 계획과 같은 전략 정보, 제품 기획 소스코드와 같은 지적 재산을 포함합니다.

 

DRM이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인 DRM은 저작권자가 배포한 디지털 자료나 하드웨어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정 자료를 저작권자가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복사방지, 기술 보호 장치로 볼 수 있다.

 

DRM이 디지털 제약 관리에 더 가까운 의미가 되며 문서 단위에 권한을 주고, 사용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합니다.

 

DRM기술은 DLP 기술에 시장을 점차 내어주고 있는 실정이며 DRM의 경우 구축 시 비교적 고비용을 투자하는 부담과 

암/복호화에 걸리는 시잔적 문제, 높은 사양의 PC 및 서버의 리소스 낭비 등의 문제를 고려합니다.

원활한 업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무조건 승인하는 분위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DLP는 일반적인 업무에서의 자료 유출은 허용하고 통제 대상인 정보의 유출에 대해서 경고/차단하고 통제 대상이 아닌 정보에 대해서도 모든 유출을 기록하고 로깅하며 감사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가 패턴과 키워드 조정 가능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peoplus1&logNo=220618535164

반응형

'IT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rflow란 ??  (0) 2022.07.18
이메일 관련 보안 기술 SPF,DKIM,DMARC에 대하여 알아보자  (0) 2022.06.30
Batch란 ??  (0) 2022.06.16
DNS란 ?  (0) 2022.05.17
인프라 정리  (0) 2022.03.11
728x90
반응형

나락 가는 미장,한국장 속에

뒤늦은 4월 배당금 내역을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 

 

2020년에 주식을 시작한 이후로..

처음으로 맞는 하락장인데여.

그래도 꾿꾿이 주식시장을 

안떠나고 버텨보려구 합니다 ~ 

 

 

해외주식은 

 

램리서치 - 5.1 

QSR - 3.67

TSM - 5.63 

O - 0.21

 

이렇게 해외주식 배당금을 받아서 

총 14.61달러 현 환율기준 18000원 정도의

배당금을 받았습니다.

 

그 외에 국내주식 

 

삼성증권 - 16000원

삼성전자우 - 8586원

카카오 - 371원

 

정도를 받았습니다 ~ 

 

모두 합하면 42957원

정도의 배당금을 받았군여 ~ 

 

나락가는 주식시장속에 

다들 잘 버티시길 바랍니다 ~ !!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부동산 경매가 뭐에요 ? 뭐지

2. 근데 그걸 왜 배워야 돼요 ? 왜지 ?

3. 그럼 부동산 경매는 어떻게 하는 거에요 - 어떻게 ??

4. 소액,초보가 할 수 있나요 ? - Fact check !

 

너무 갖고 싶어서 최대한 비싸게 사서 가져가려는 경매 - ex) 미술품,골동품 경매 

 

사긴 사는데 어떻게든 싸게 사려고 하는 경매 - ex) 부동산 경매

 

경매는 내가 원하는 집이 아닐 수도 낙찰을 못 받을 수도 있다.

- 뭘 사든지 상관 없고 무조건 싸게 사면 됨

- 싸게 사면 뭘 사도 된다

 

" 안팔리는데요..?? ㅠㅠ"

- 이 경우 싸게 산게 아님 호가를 시세로 본 것 

 

부동산 경매는 경쟁 입찰 !! // 낙찰 받는게 쉽지는 않음 

 

경쟁해서 싸게 낙찰 받으려면 입찰자가 적은 것에 입찰해야 한다.

 

다른 사람이 입찰을 꺼려할 물건에 입찰해야 한다. 사람들이 꺼려하는 것 

ex) 썩은 빌라,외딴 곳에 있는 것,시세가 떨어지는 것

 

꺼려하는 물건도 자기만의 시세가 있음

 

- 이러한 것들도 나 자신도 입찰하기가 두려움 

 

무엇이 무서울까 - 4가지가 있다.

 

1. 어려운 시세조사 

2. 수리에 대한 걱정

3. 매도/임대에 대한 걱정

4. 명도에 대한 걱정 

 

1번은 개별성이 너무 강함...

2번은 수리 여부에 따라 시세차이가 큼 ~ !!

3번은 다시 팔 수 있을까..?? 전세가 안 나가면 어쩌지..? 하는 불안감 엄습

4번은 무서운 사람이 살면 명도는 어쩌지..??

 

이런 걱정들도 결국 싸게 사면 거의 다 해결이 되더라 ~ 

 

" 시세조사가 애매한데..??"

 

- 보수적으로 더 낮게 입찰하세요 ~ 

 

"전세가 안나가네..??"

 

- 싸게 샀으면 더 싸게 내놓으면 됨

 

"이사를 안 나가요."

 

- 싸게 샀으면 이사비를 좀 더 주면됨 

- 돈을 주고 법원에 부탁하면 됨 강제 집행 하도록 

 

진짜 문제는 싸게 샀다는 확신이 없는데 이런 문제점을 맞딱뜨릴때 ~ -> 멘탈 박살 !! 

 

부동산 경매가 뭐에요..??

 

부동산을 두려운만큼 더 싸게 덜 두려운 만큼 덜 싸게 사는 것

 

-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면 용기는 백배,천배의 돈으로 돌아올 수 있다 ~ !!

 

그게 무엇이든 다른 사람과의 차별점 1개만 있으면 된다 ~ 

 

- "앞으로 오를 곳에 편하게 투자해"

- "경매 그거 괜히 고생만 하더라"

- "난 그냥 샀는데 돈 벌음 ㅋ.ㅋ"

 

남들과 똑같지 않고 다르게 하며 나만의 투자 방법을 이용해야 돈을 번다.

 

경매를 왜 배우지 ?

 

- 부동산 경매는 원금이 보장된다.

- 부동산 경매는 타임머신이다.

 

- 투자란 원래 리스크가 있는 것에 돈을 걸고 극복하여 돈을 버는 것 

 

- 경매는 싸게 사기 때문에 원금을 잃은 수 있다는 리스크가 없음

 

 사는 가격도 내가 정함

취득세,법무비 내도 싸게 입찰함

싸게 사면 취득세,법무비도 싸다

 

낙찰을 받기만 하면 

바로 수익이 나는 투자

무조건 원금 + a

 

고평가,저평가 몰라도 됨

현재 시세와 입찰 가격은 숫자일뿐 큰 숫자일수록 크게 먹는 것 

 

- 그냥 로를 거 같은 곳에 편하게 해

 

- 경매는 이미 오른 곳을 과거의 가격으로 살 수 있다.

 

특히 최근 2년 동안 상승장에서 정말 유용했던 투자 

<-> 하락하는 시장에서 두려움을 이기고 산다

상승장에서도 경매투자는 빛을 발한다

 

상승장이면 경매가 과열이라 싸게 못 살텐데..??

 

- 입찰하는 가격의 범위가 넓으면 사람이 좀 몰려도 싸게 살 수 있음

- 경매 물건의 감정 가격을 매긴 시점과 입찰하는 시점의 시기차이를 노린다 

 

즉 감정 가격 자체가 낮게 나오면 싸게 쓸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 감정 시점부터 입찰시점까지의 시세상승을 경매로 노려볼 수 있음

- 내가 입찰하는 시점에는 이미 상승한 물건들로만 고른다.

 

경매는 시기/지역에 상관없이 언제든 돈을 벌 수 있는 투자 

 

오를 것을 사는 건 확률 

오른 것을 싸게 사는 건 결과

오를 것을 사는게 절대 쉬운게 아님

 

나의 방법에 집중하자

 

- 남들이 꺼리는 물건들로 종잣돈 더 모으고

- 범위가 넓은 물건들로 시세차익 !!

 

그래서 부동산 경매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

 

1. 물건검색 ( 사이트 굿옥션,지지옥션,스피드옥션)

2. 권리분석

- 낙찰금액 말고도 물더줄 돈이 없는지 확인 ~ 

근저당 가압류 등등// 소멸기준,소멸 

5초면 권리분석 끝남 실제로 80~90퍼는 쉽게 끝남

 

낙찰자에게는 말소기준권리보다 늦은 날짜의 권리는 임차인 보증금 권리까지 모두 소멸 

 

3.시세 조사 

 

<전화조사> 중개사 통해 시세 추정 방문 약속 잡기

<현장조사> 약속한 물건들 현장 확인, 관리소 방문,초인종 누르기

 

"절대 이 가격 밑으로 생각 할 수 없겠군 추정" !!

 

꼭 임장을 통해 급매물 체크를 해볼 것

중개사와의 대화 하나하나가 중요함 (메모,녹취)

 

4.입찰 ~ 

 

경매는 오프라인 입찰 or 대리인이 가야함 

보증금으로 최저가격 10%를 같이 냄

 

5. 잔금 납부

6.명도

7.수리

8.수익실현

 

경매 프로세스 끄읕 ~ 

 

 

 

 

반응형
728x90
반응형

1.Relay 

 

- 외부에서 해당 메일서버를 경유해서 

외부로 메일을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Relay 허용

 

- POP3/IMAP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PC/타서버단에서 SMTP 이용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간단히 말해 메일 발송 버튼 누르는 것)

이 PC단의 IP주소/대역에 대해 SMTP 서버를 통하여 다른 SMTP 서버로의 메일 발송 권한을 허용(릴레이 허용)

 

2. 자기 자신 주소로 들어온 메일만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aver.com의 메일 서버에서 모든 ip(로컬 포함)에 대해서 

릴레이를 막았다면..

@naver.com으로 들어오는 메일만 받을 수 있게 되고

나머지 주소의 메일들은 릴레이 거부로 메일을 전송할 수 없습니다.

 

3. 일반적으로 로컬 네트워크란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로컬 네트워크라는 것은 메일 서버에서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4.예를 들어 192.168.32.10 ~ 192.168.32.20 까지의 ip 대역을 사용하는

회사의 메일서버(smtp서버)에서

위 ip 대역에 대해서만 릴레이 설정을 허용하면 위 ip 대역 외의 

사용자들은 해당 메일서버를 통해서 외부로 메일을 전송할 수 없게 됩니다.

 

위와 같이 하는 이유는

물론 스팸메일러들이 외부 네트워크에서 해당 메일서버를 경유해서 메일을 보내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지만

굳이 스팸 메일이 아니더라도 관계 없는 외부 사용자가

공짜로 자신의 메일서버를 

통해서 메일을 외부로 보내도록 설정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메일서버에 접속하는 이용자들의 ip가 중구난방이라면

ip대역으로 릴레이 제한을 하는 설정을 할 수 없으므로

smtp서버에서 제공하는 'smtp인증'기능(메일을 보낼 때로 id와 pass를 묻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사이트

 

https://medium.com/@jongmin.kim/smtp-relay-fca0d3827cfb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쉽게 이해하기  (0) 2022.06.10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POP3와 IMAP의 차이점 ??  (0) 2022.04.13
SMTP란 ?  (0) 2022.04.13
NAT IP란..??  (0) 2021.12.29
728x90
반응형

POP3/IMAP 

 

유저가 메일서버에서 메일을 받기 위한 프로토콜

 

POP3 

 

받는메일이라고 불리는 POP서버 이메일을 받아오는 표준 프로토콜 

TCP 포트번호는 110번

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로컬 PC로 수신 받을 수 있는 client/server 프로토콜이다. 메일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을 로컬 PC로 가져오는 역할 POP3는 서버에서 메일을 받아오는 즉시 삭제되도록 만들어 졌지만 서버저장 설정은 가능하다. 스토리지용량에 제한있는 경우 유리

 

IMAP 

 

POP와 같이 메일 서버 종류 중 하나이다. TCP포트번호는 143번

POP와는 달리 중앙 서버에서 동기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모든 장치에서 동일한 이메일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태블릿,PC모두 동일한 받은메일/보낸메일/기타폴더 등 모든 이메일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서버에 이메일이 남겨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메일을 열람할 수 있다.

메일이 서버에 저장되어있기 때문에 로컬PC에 문제가 생겨도 이메일에는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차이점 정리

POP3 IMAP

- 메일 서버에서 로컬장치로 이메일을 다운로드 받음
- 수신함 즉, 받은 메일만을 다운로드 하여 조회 가능
- 로컬장치로 다운로드 시,서버에서는 이메일 삭제 
-오프라인지원

- 메일 서버에서 동기화가 이루어짐
- 수신함 뿐만 아니라 모든 메일함을 조회 가능
- 서버에 이메일 실시간 존재.
- 온/오프 모두 지원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계층 쉽게 이해하기  (0) 2022.06.08
Relay란 ??  (0) 2022.04.13
SMTP란 ?  (0) 2022.04.13
NAT IP란..??  (0) 2021.12.29
DHCP  (0) 2021.08.24
728x90
반응형

 

SMTP란 ?? 

 

- 인터넷에서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한 전송규약 및 프로토콜

- 메일서버 간 메일을 주고 받을때 SMTP 사용

 

실무에서 쓰이는 용도로는 SMTP(25)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자메일을 발신하는 서버로써 사용됨

이와 관련되어 POP3 방식과 IMAP 방식이 있으며 이는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가져오는 것과 

메일 서버에 직접 접속해서 메일을 관리하는데 차이점이 있다.

 

메일을 보낼때는 바로 상대편의 컴퓨터로 메일 송신 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메일서버라는 곳을 몇군데 거치게 된다.

메일서버에 메일이 보관되고 그것을 다시 다른 메일서버에 보내면서 결국 보내고자하는 end-user에게 전해진다.

 

순서 : 

 

1. 연결 설정 단계 : SMTP 클라이언트가 TCP를 이용해 SMTP 서버와 세션을 설정

2.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SMTP 서버에 메일을 보내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

3. 메일 전송을 완료하면 TCP 연결을 종료하는 연결해제 단계가 진행되며 SMTP가 종료됩니다.

 

중계전달자 역할을 함으로써 메일서버간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낼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교환할 때 그 과정을 정렬 해줌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y란 ??  (0) 2022.04.13
POP3와 IMAP의 차이점 ??  (0) 2022.04.13
NAT IP란..??  (0) 2021.12.29
DHCP  (0) 2021.08.24
VPN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지 ?  (0) 2021.08.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 

 

벌써 22년 1분기가 다 지났네요.. !! 

 

러,우 전쟁으로 

모든 물가가 오르고 

미장이나 우리나라장이나 거의

 

나락이여서..??

이때다 싶어 처음으로

공포에 사자는 마인드를 빌어

 

빚투를 처음 받아봐 ~ 

미국주식 단타..?? 아닌

단타를 쳤습니다.

 

테슬라가 760달러까지 저점을찍길래

평단 800으로 분할매수 분할매도 하면서

테슬라로 가장 많이 벌었네요..^^

 

미장을 오래 하다보니

나락이 가더라도 언제 그랬냐는듯

반등을 잘하여 이번 하락장에

 

조금이나마 빚투를 하여 수익을 본 것 같네요 ~ !!

물론 빚투를 하고 다음달에

부동산 갭투자한 것 잔금을 치루기에

 

생애 첫 부동산도 올해 구매 할 예정 입니다.

그래도 시장에 오래남아 

빚투를 해도 되겟다 싶은 판단이 서서

조금이나마 돈을 벌었네요.. ㅎㅎ

 

테슬라 주주인 일론 머스크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을때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주식과 부동산을 소유하라구요 ~ !!

그럼 이게 방어 수단이겠죠 

 

저도 미국주식인 달러를 들고 있으니

한국주식도 조금 있는 저에게 

 

달러가치가 올라가 어느정도 헷지효과를 주엇네용 ~ 

 

 

첫 빚투 단타 수익으로

이정도의 수익을 얻었네요.

 

미국주식은 수수료는 쌔지만 그래도 

벌리니까.. ㅎㅎ

 

3월 배당금 내역으론 ~ 

화이자 - 2.38

마소 - 3.69

엔비디아 - 0.24

리얼티인컴 - 1.89

 

정도의 배당금을 받았네요

현 환율기준 만원정도의 배당금을 

받았네요 ~ 

 

거의 2년동안 야금야금 사온 

화이자는 이번에 배당금 받고

전량매도 했고 

 

나머지 마소랑 리얼티인컴도

어느정도 처분했네요 ~ !! 

 

아무튼 요새 다행이 

 

러우가 협상해서 그런지

 

반등이 잘나와주고 있어서 다행인

것 같네요 ㅎㅎ

반응형
728x90
반응형

쿠팡파트너스를 처음 시작한

2021년 7~8월에만

열심히 지식인으로 하고 

 

그 다음에는 좀 노가다인 것 같아서 

안했는데..??

 

신기하게도 월마다 작게는 2~3만원

10만원 들어온 것 같다.

 

내 지식인 답변을 보고 누가 클릭해서 산건가..??

 

쿠팡파트너스 추천인 아이디 : AF9769015

 

7~8월에만 열심히

지식인에서 성실히 답변하며

쿠팡 제품을 추천하였는데..

 

6개월 동안 36여만원의 수익을 얻었다.

 

처음에 할때는 많이 팔리지도 않아서 

너무 하기 싫고 귀찮아졌는데

 

꾸준히 했다면 더 큰 수익이 

있었을꺼 같다.

 

달마다 소액이라도 이런

꾸준한 현금흐름이 있다면

정말 괜찮을 것 같다.

 

쿠팡파트너스 추천인 아이디 : AF9769015

 

가입하여 한번 꾸준히 3개월정도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